오프닝 퍼포먼스- 홍석진 X 허경미 콜라보레이션 < 부식 풍경 >
멀티 미디어 퍼포먼스 / 약 10~15min
2020. 7. 23. (목) 오후 6시 30분 /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지하2층 보안클럽
집은 시간을 흡수한다. 그리고 시간을 부식으로 발현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부식의 공간은 떨어져 나간 것들, 떠나 보낸 것들의 총합이다. 비어 있는 부식의 공간을 바라 본다는 것은 한 때 그 곳에 있었던 것들을 다시 소환하는 행위다.
집은 거주자를 흡수한다. 그리고 거주자를 부식으로 발현한다. 거주자의 동작들은 축적되어 흔적을 남기고 다음 가족들은 흔적 위에 또 흔적을 새긴다. 부식은 또 다른 부식 위에서 이루어지면서 서로의 흔적은 중첩되고 계승되면서 감만동의 역사는 부식으로 각인된다.
이렇게 축적된 부재의 공간들에 내재되어 있는 감만동의 삶을 퍼포먼스로 표현하고자 한다.
오프닝 렉쳐- 전진성 교수 ‘혼종성’ 렉쳐
2020. 7. 23. (목) 오후 7시/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지하2층 보안클럽
오프닝 토크- 부산을 바라보는 네 집단의 자유로운 패널 토크
2020. 7. 23. (목) 오후 8시/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지하2층 보안클럽
- 부산에서 태어나서 성장하고 부산에서 활동하고 거주하는 사람
- 부산이 고향은 아니지만 부산에서 활동하고 거주하는 사람
- 부산에서 태어났지만 부산이외의 지역에서 활동하고 거주하는 사람
- 부산과 지연, 학연도 없지만 부산을 좋아하는 사람
전시연계토크 – ‘60년대 부산인들의 대화’
건축가 최욱, 설치미술가 최정화, 문화예술기획자 최성우
2020. 8. 5. (수) 오후 7시 /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지하2층 보안클럽
부산 초량동에서 60년, 61년 태어난 건축가 최욱, 현대 설치미술가 최정화, 문화예술기획자 최성우, 세 명이 수 년동안 2km의 반경 내에 동시대를 살았다는 점을 발견한데서 출발하여, 동시대 문화예술계를 함께 이끌고 있는 세 명에게 과거의 부산은 어떤 곳이었는지, 부산이 지금 현재의 자신들에게 어떻게 남아 있는지에 대한 주제로 자유로운 대담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