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1942(통의동 보안여관) 기획전시

《뷰자데 VUJÀ DÉ》

  • 일시 : 2021. 11. 11 – 12. 5
  • 장소 : 아트 스페이스 보안1, 2, 3
  • 운영시간 : 12:00 – 18:00
  • 매주 월요일 휴관
  • 입장료 무료

《Vuja De》

  • Date : 11. Nov. – 5. Dec. 2021
  • Venue : ART SPACE BOAN1,2,3
  • Opening Hours : 12PM – 6PM
  • Closing Days : Every Week Monday
  • Admission Free
  • 전시 참여작가: 이솝, 이은영, 임영주
  • 퍼포먼스 참여작가: 듀킴, 성상식, 오로민경, 이수영
  • 디렉터: 최성우
  • 기획: 박승연
  •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정희윤
  • 그래픽 디자인: 파이카
  • 공간 설치: 홍민희
  • 사진: 유용진
  • 주최 및 주관: 통의동 보안여관
  • 협력: 보안책방, 아트앤루프
  • 후원: 일맥문화재단
  • Exhibition Artists: Lee Sop, Eun Yeoung Lee, IM YOUNGZOO
  • Performance Artists: Dew Kim, SUNG SANG SIK, Oro Minkyung, Sooyoung Lee
  • Director: Sungwoo CHOI
  • Curator: Seungyeon Park
  • Assistant Curator: Heeyoon Jung
  • Graphic Design: paika
  • Exhibition Installation: Minhee Hong
  • Photographer: You Young Jin
  • Organized by BOAN 1942
  • Cooperation : BOANBOOKS, artnloop
  • Supported by ilmac cultural foundation

⬇︎ 퍼포먼스


자세히 보기

뷰자데 Vuja De

보안1942(통의동 보안여관)의 2021년 기획전시 《뷰자데 Vuja De》 는 우리가 인지하지 못한 자연 속 초월적 존재를 찾아 새로운 세계관을 펼쳐보며 인간과 자연을 재연결시켜 기존과 다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고대의 인간은 자연에 종속된 환경에서 생활하며 자연적 현상 혹은 생존본능이 강한 다른 생명들로부터 위협을 받을 때 자연의 초자연적 존재에게 삶의 영위가 지켜지고 모두 더불어 사는 세상을 기원하였다. 하지만 인간이 생태계의 포식자가 되기 시작하며 자연이 도구로서 작동하고, 인간의 욕망적 수단으로 끝없이 이용하다보니 현 인류세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도 역시 자연을 대하는 인간중심적 태도와 무한한 욕심으로부터 발발하여 인류와 함께 진화해온 치명적인 역병임에도 불구하고 반성과 성찰에 대한 태도는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현재의 생존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과학에 의존하거나 인간계에서 습득되어진 초월적 존재를 찾아가 기도를 하며 희망차고 안정된 근미래를 꿈꿔보기만 할 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인재人災 바이러스 즉 인수공통감염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는 생각할 겨를이 없는 듯하다. 온전한 생태계인 야생에 침범하여 발생한 바이러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자연을 들여다보며 현 상황에 대한 그들의 입장과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지 않는 것인가.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거나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줄 수 있는 초월적인 존재를 다시 고대의 인간처럼 자연, 원초로 돌아가 그 곳에서 찾아보는건 어떨까.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이번 전시는 자연 속 초월적인 존재에 주목하며 인간의 유익을 위함이 아닌 자연의 회복을 꿈꾸는 염원을 모으고자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것들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며 그 동안 인식하지 못한 초자연적인 것들을 상기시키거나 겪지 못한 저 너머의 세계를 상상해보고 꿈꿔본다. 

  전시제목인 “뷰자데Vuja De”는 이미 수없이 경험한 것이 마치 새롭고 낯설게 느껴져 또 다른 관점으로 보게 된다는 신조어다. 즉 무의식 중 뿌리 깊게 박혀있는 우리의 인간중심적 태도와 시각을 바꿔 바라보면 인간이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고 주변을 새롭게 둘러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은 인간이 보고 규정한 범위로만 존재하고 인식되어져 왔으며 인간은 필요한 정보를 수동적으로 학습하거나 인식하여 세계를 그 범위 내에서만 형성한다. 현실 세계는 인간이 규정해놓은 범위로 제한을 해두지만 자연은 우리가 파악한 세계를 넘어서 알 수 없는 환경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을 현상학적으로 받아들이면 무한대 혹은 영원이지만 그보다 자연은 현상의 근본 혹은 바탕으로서 무無 혹은 무위無爲 로서 볼 수 있다. 자연은 영원한 신비神秘이고 신비한 것이 바로 신神이다. 그동안 알 수 없었던 신세계 속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이번 전시의 작품과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이한 황홀경ecstasy과 같은 경험을 겪길 바란다.

박승연(보안1942 큐레이터)

뷰자데 Vuja De 소책자 다운로드

❤︎퍼포먼스 타임테이블


오로민경 <돌, 빛, 결>, 아트스페이스 보안 3

11. 12 금요일 오후 7시

11. 13 토요일 오후 3시


이수영 <스무고개>, 아트스페이스 보안 3

11. 20 토요일 오후 3시

11. 21 일요일 오후 3시


듀킴 <아포칼립스 키스>, 아트스페이스 보안3

* 팝업전시 및 퍼포먼스 진행 예정

12. 1 -2 수-목요일

오후 12시부터 8시


성상식 <상식의 노래>, 아트스페이스 보안 3

12. 3 금요일 오후 7시

12. 4 토요일 오후 7시

전시_참여작가 소개

*이솝

이솝은 그동안 작은 것들을 관찰하여 그 안에 이야기를 담아 시각화 해왔다. 산업화,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아래 연약한 동.식물들에 주목해 전시를 열어왔다.

이솝은 《뷰자데》 전시에서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다’라고 말한 에번 D.G 프레이저의 저서 「음식의 제국」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을 시작했다. 이솝은 인간이 경작하는 단일작물의 집중재배와 대량생산, 지력고갈 등의 문제들을 들여다보다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슈퍼마켓 진열장 속의 가공식품들인 참치 통조림과 완두콩 통조림, 계란 등에서 생명을 잃어버린 또 다른 얼굴들을 떠올렸다. 그리고 거기에 환생, 부활, 이승, 저승, 불멸 등의 모티프들을 덧댔다. 이번 출품작들은 인간들의 일상적인 식재료를 소재로 산업화된 자연과 인간의 과욕을 이야기 한다. 한 때 야생의 한 존재였을 작은 개체들의 속삭임에 귀 기울여 다양한 생명의 존재적 가치와 공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틀을 마련해준다.

*이은영

이은영은 특정 장소나 상황 속에서 떠올린 ‘실제 했으나 사라진 것’에 대한 심상을 시적 은유와 공감각적 시각화라는 다층적 탐구를 통해 조형화 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탐색해오고 있다. 오래된 묘지, 주인을 잃은 공간과 사물, 일상에서 마주치는 희미한 기억의 흔적, 죽은 이에 대한 애도와 같은, 즉 실제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고 치부되었기에 또렷이 형상화되지 못한 대상들에 얽혀 있는 감각과 기억의 파편들을 끌어올리고 드러내는, 그럼으로써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와 의미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리하여 의미와 형태가 자유롭게 변화하는 비정형의 덩어리들이, 때로는 홀로 동시에 함께,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뷰자데》전시에서 이은영이 직접 경험한 상황에서 발생한 낯선 감각과 기억을 조형적 언어를 통해 감각적으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 출품한 작품들은 죽음을 상기 시킬 수 있는 자리에 존재하고 있는 시선을 풀어낸다. 이은영은 특정 장소가 담고 있는 이야기와 그 주변의 사소한 것에 내포된 의미를 찾아 또 다른 감각을 이끌어내는데 우리가 스쳐지나갈 수 있는 존재들에게서 작가는 죽음과 존재에 대한 사유를 찾아보며 서로의 관계를 맺어주고 기억의 방법을 새롭게 제시한다. 집 앞 구멍가게, 홍콩의 공동묘지와 같이 작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장소에서 느낀 죽음에 대한 감정을 조개껍질과 묘비 주변의 식물들을 통해 환기시키며 그 감정을 꾸밈없이 관객에게 전달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이은영은 감각의 기억을 형상화하여 죽은 자와 산 자 그리고 생명체를 연결시키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그 추억을 공유한다. 우리는 이러한 작품을 통해 우리 주변 어디서든 생과 사를 볼 수 있고 이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자연물이 존재함을 깨달을 수 있다.

*임영주

임영주는 인간 내면의 믿음과 그 구조에 대해 탐구한다. 사람들이 무언가를 믿게 만드는 효과, 믿음이 변화된 상징, 사람들 사이에서 퍼져나가 확고한 진실이 되어 버린 상황을 작업을 통해 보여준다. 

《뷰자데》전시의 출품작인 <극광반사>는 촛대바위의 끝에 해가 떠오르는 순간 그 사이 벌어지는 틈으로 두 채널의 화면이 서로 중첩되기를 시도하다 한 화면으로 서서로 바뀌며 다른 세계로 진입한다. 그 곳은 우주로 보이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인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자연물들의 형상이 어른하게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순하지만 흡입력이 강한 사운드와 함께 전시장을 빛과 소리로 가득 채운다. 이러한 경험을 우리는 명상이라는 수행법으로서 쉽게 접근해볼 수 있다. 실제로 자연을 곁에 두거나 자연의 사운드와 이미지를 통해 간접적인 체험을 하는 자연명상을 함으로써 인간의 초월상태를 경험하거나 해탈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고 흔히 생각한다. 임영주는 이러한 명상의식을 <극광반사>에 나타나는 자연물과 우주, 사운드를 통해 우리가 인식한 차원의 영역을 확장시켜 강한 믿음을 발생시키고 그 곳으로 안내한다.

<생명수>는 하나님의 은혜를 상징하는 뜻뿐만 아니라 인간의 신체와 영혼의 건강을 되찾게 만들어줄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 만병통치약과 같은 물을 의미한다. 그리고 SF영화나 과학기술 홍보 영상에서 흔히 물을 보여주며 평화 혹은 생명의 존재 가능성을 열어주고 더 나은 세계로 다가갈 수 있을 것만 같은 기대감을 고조시키는 장치로서 작동시킨다. 신성한 물인 생명수의 이미지와 함께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나오는 목소리를 관람객에게 들려줌으로서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 속 신념과 과학의 믿음을 보여준다.

퍼포먼스_참여작가 소개

*듀킴

듀킴은 점차 경계가 모호해지는 퀴어와 젠더의 개념을 샤머니즘의 시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샤먼이 두 가지의 분리된 다른 객체, 시간, 공간의 공백에서 흐름을 만들어내는 역할과 수행을 하듯이 작가는 스스로를 대상화하여 몸을 변이 하는 과정을 통해 퀴어적 서사를 시각화하고 대립적 상태의 초월을 시도한다. 

이번 <뷰자데>전시에서 듀킴은 는 팝업전시와 퍼포먼스가 결합된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작품은 인류의 종말과 새로운 종의 탄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순간을 그리고 있다. 이 파괴의 공간은 주체도 대상도 없다. 그저 반복되는 파괴와 그 파괴에서 나온 파편들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이러한 유희적 탐구를 통해 확장되어가는 퀴어와 젠더, 그리고 실체가 없는 카오스적인 세계를 교차성과 이동성을 가진 샤머니즘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성상식

<상식의 노래>는 상식이라는 단어가 가진 일반적이고, 보편적이라는 의미에 대한 물음과 본인 성상식에 대한 자전적인 이야기들로 구성된 음악 퍼포먼스이다. 한국 타악기(장구, 징, 좌종, 목탁, 풍경, 공)들을 조합한 연주와 노래 그리고 <근음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자리를 가지고자 한다. <근음 프로젝트>는 제주 비자림로 삼나무 숲 벌목 현장의 밑동만 남은 나무 위에 땅 속의 나무뿌리를 캐낸 후 뒤집어 올려, 밑동만 남겨진 두 나무의 뿌리가 하나는 땅 속에, 다른 하나는 하늘을 향해 세운 작업으로 개발과 보전이라는 대립이 팽팽하던 자연을 향한 인간의 이면과 본질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였다.

*오로민경

오로민경은 사람들이 소리로 생각하지 않는 고주파소리를 잘 듣는 편이다. 들리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소리의 풍경들을 마주하고 들어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작은 기억, 흔들리는 잎의 미묘한 떨림을 감각하는 시간들에 집중한다. 학교에서 시각예술을 공부한 후 빛, 소리, 시간에 기반한 작업을 하고 있다. 전시, 공연, 영화, 워크숍 기획등 다양한 형태로 활동 중이다. 

오로민경은 <돌, 빛, 결Stone, Light, Wave> 퍼포먼스를 이번 《뷰자데》전시에서 진행한다. 작가는 말 없는 바위과 빛을 바라보며 시간을 읽었다. 흐르는 물에서 볼 수 있는 물결과 반사된 빛, 물결로 인해 침식되어지는 바위와 돌멩이와 지층에서 점점 부서져가는 모래알들의 시간의 소리와 이 결들에서 새어나오는 목소리를 듣는 기도를 진행한다. 이번 퍼포먼스에서 오로민경은 부딪히는 마음과 자연 사이에서 생의 의미를 간절히 찾는 이의 수행으로서 소리, 소망으로서의 시간을 보여줄 예정이다.

*이수영

이수영은 공룡을 기억하는 고사리 정령, 복숭아 넥타, 전생에 걸린 눈병, 망설임, 시위를 떠난 활소리, 빨라지는 심장박동, 네비게이션이 장착 된 철가방으로 떠난 중앙아시아, 유곽(遊廓) 장소의 령(靈), 100여 년 전 습지, 칼날이 돋아난 발, 눈 먼 명태와 다리 다친 문어, 신라인 미술작가 솔거의 환생, 저 먼 곳 명왕성 그리고 알 수 없는 많은 것들과 함께 미술작업을 해왔다.

이번 《뷰자데》전시의 퍼포먼스에서 이수영은 관객참여형 퍼포먼스 <스무고개>를 진행한다. 관객들은 스무 번의 질문을 통해 우리에게 찾아 온 ‘그것’의 정체를 밝혀야한다. 답을 맞히지 못할 때마다 ‘그것’은 피를 흘리며 서서히 죽어가고 관객은 ‘그것’을 구하기 위해 급박한 상황 속에서 추리하고 공감하며 모든 감각의 촉을 세우게 된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것’의 죽음은 나와 연루되어 있고 우리는 우주의 모든 것과 연루되어있다. 알수 없는 ‘그것’의 이름을 불러 기꺼이 연루되고자 하는 절박한 힘이 우리와 우리의 세계를  변화시켜 주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