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프랜인천타운: 메이드 인 인천
My Friend Incheon Town: Made in Incheon
- 참여작가: 동인천탐험단, 리금홍, 박지혜, 이수영, 정재호
- 일시: 2023. 04. 14 – 05. 14
- 장소: 아트스페이스 보안 1, 2, 3
- 운영시간: 12:00 – 18:00
- 매주 월요일 휴관
- 입장료 무료
- Artists: Dongincheon Explorer, Lee Geumhong, Jihye Park, Sooyoung Lee, Jaeho Jung
- Date : 14. April. 2023 – 14. May. 2023
- Venue : ARTSPACE BOAN 1,2,3
- Hours : 12PM – 6PM
- Closed on Mondays
- Free Admission
Credit
- 디렉터: 최성우
- 기획: 박승연
-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최정욱
- 인턴 큐레이터: 손효진, 윤현태
- 그래픽 디자인: 파이카
- 공간 디자인 및 조성: 손정민
- 영상장비: 올미디어
- 운송 및 작품 설치: 나라작품운송
- 홍보물 제작설치: 애드엔아트
- 사진: 유용진
- 주최 및 주관: 통의동 보안여관
-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협업: 스페이스 빔, 인천 스펙타클, 임시공간
메이드 인 ○○은 보안1942(통의동 보안여관)의 지역을 조망하는 시리즈 전시로 2023년에는 “인천”을 주목한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중앙과 변방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고 질서를 갖추고자 하는 시선에서 벗어나 각 지역의 고유한 가치를 찾고 공유하고자 한다.
《마이프랜인천타운: 메이드 인 인천》은 지금 서있는 이곳에서 약 40km 거리에 위치한 인천을 살펴본다. 인천은 서울 근교 항구 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개항장을 개방하게 되었고 산업화 이후에는 대규모 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수도로 갈 수 있는 관문, 상경의 발 돋움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서울의, 서울에 의한, 서울을 위한 인천”, “서울의 위성도시, 베드타운”이 아닌 “인천광역시”만의 독자적인 상징성은 분명히 존재한다.
한국 근현대 격동의 역사를 품고 있는 인천에서는 국내 변화와 발전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강제적인 개항이었지만 이로 인해 인천에는 신문물이 끊임없이 들어오게 되었고 국내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최초로 겪으며 근대화를 선도하였기에 많은 이주민들과 함께 자본이 유입되었다. 여러 국적과 국내 팔도 사람들의 노동력이 모여 다양한 생활권이 형성되어 독특한 문화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융화의 과정은 인천만의 기억과 상징에서 나아가 대중적인 문화로서 우리의 일상에도 흡수되어 있다.
《마이프랜인천타운: 메이드 인 인천》의 참여작가 동인천탐험단, 리금홍, 박지혜, 이수영, 정재호는 사진, 설치, 아카이브, 영상, 회화 등의 매체들로 인천의 여러 이야기들을 우리에게 전달한다. 각기 다른 시기에 발생한 흩어져있거나 흐려진 화두들을 각 작가들의 시간과 시선으로 재해석하여 인천의 기억 일부를 전시장에 모아 상기시킨다.
이번 전시를 통해 여기 있는 서울과 저기 있는 타 지역을 나누는 지리적, 인식적 경계를 뛰어넘고 인천으로부터 파생된 일상에서 오랜 시간 켜켜이 쌓인 흔적들을 살펴보려 한다. 이 과정은 복원이 아닌 기억을 위한 장치로서 작동하여 인천 지역의 특유한 상징들에 대해 기존의 인식과 다른 경험을 하고 그 안에서 우리의 공동 기억을 발견하길 바란다.

보안1942(통의동 보안여관) 기획전시 《마이프랜인천타운: 메이드 인 인천》
/0 Comments/in Exhibition /by meta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