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의동 보안여관은 2018년 8월 21일 부터 9월 6일까지 ‘몸과 접촉’에 관한 동시대적 태도와 감각의 기의를 다루는  을 개최한다. 오늘날 몸은 젠더 이슈의 배틀그라운드이자 사이보그로 진화하고자 하는 열망 혹은 두려움에 휩싸인 실험실이다. 또한 ‘먹방’과 ‘몸 만들기(physical fitness)’등으로 통용되는 대중문화의 초극단이 발화하는 공간인 동시에 한국사회의 신체적 거리감을 조율하는 ‘매너손’의 배려를 받는 객체이기도 하다. 한때 육체는 정신의 온전한 지배를 받는 것으로 오인되기도 했지만 정신분석 철학과 뇌과학의 발달에 따라 의지 자체를 발현시키는 중요한 주체로 인식되었다.  
은 인간의 몸이 지닌 인류사적 의의에 집중하기보다는 신체를 통해 이뤄지는 다양한 접촉의 감각을 주제로 한다. 전시에 소환된 김지멍, 박카로, 안은미, 오민, 유신애, 장지아, 조현은 몸과 접촉의 사이에서 가장 직관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성 이슈(sexual issues)에서부터 단백질, 지방, 물 등으로 이루어진 물성의 공간, 그리고 인간의 의지와 감각을 일으키는 화학적 작용의 장소로 사유한다. 신체를 둘러싼 접촉이 생성시키는 개인의 감각과 그에 따른 사회적 관계에는 어떤 괴리가 있을까? 신체의 접촉은 어떠한 고결성 혹은 퇴폐성을 지니는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모든 접촉은 사회적 관계와 도덕적 잣대에 틀림없이 귀결 되어야만 하는 것일까?

참여작가: 김지멍, 박카로, 안은미, 오민, 유신애, 장지아, 조현

공동기획: 박수지, 송고은, 신현진

오프닝: 18. 08. 21 (화) 6pm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BOAN1942지하1층)

전시기간: 2018년 8월 21일 – 9월 6일

관람시간: 12: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Artspace Boan 1, 2 ((구)통의동 보안여관, BOAN1942 지하1층)

기획 의도

통의동 보안여관은 2018년 8월 21일 부터 9월 6일까지 ‘몸과 접촉’에 관한 동시대적 태도와 감각의 기의(sign)를 다루는   을 개최한다. 오늘날 몸은 젠더 이슈(gender issue)의 배틀그라운드(battleground)이자 사이보그로 진화하고자 하는 열망 혹은 두려움에 휩싸인 실험실이다. 또한 ‘먹방’과 ‘몸만들기(physical fitness)’등으로 통용되는 대중문화의 초극단이 발화하는 공간인 동시에 한국사회의 신체적 거리감을 조율하는 ‘매너손’의 배려를 받는 개체이기도 하다. 한때 육체는 정신의 온전한 지배를 받는 것으로 오인되기도 했지만 정신분석 철학과 뇌과학의 발달에 따라 의지 자체를 발현시키는 중요한 주체로 인식되었다.

은 인간의 몸이 지닌 인류사적 의의에 집중하기보다는 신체를 통해 이뤄지는 다양한 접촉의 감각을 주제로 한다. 전시에 소환된 작가들은 몸과 접촉의 사이에서 가장 직관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성 이슈(sexual issues)에서부터 단백질, 지방, 물 등으로 이루어진 물성의 공간, 그리고 인간의 의지와 감각을 일으키는 화학적 작용의 장소로 몸을 사유한다. 신체를 둘러싼 접촉이 생성시키는 개인의 감각과 그에 따른 사회적 관계에는 어떤 괴리가 있을까? 신체의 접촉은 어떠한 고결성(virtuous) 혹은 퇴폐성을 지니는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모든 접촉은 사회적 관계와 도덕적(moral)잣대에 틀림없이 귀결 되어야만 하는 것일까?

이번 전시는 이처럼 수 많은 함의를 지닌 몸과 접촉의 연상에 관한 7인의 예술가들의 영상, 설치, 퍼포먼스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안은미는 작가의 대표적인 표현 방식인 춤 대신 이번 전시를 통해 최초로 사운드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그녀의 어머니 세대가 풀어놓은 첫날밤의 이야기를 채집한 <거시기 모놀로그>(2018)에 등장하는 ‘거시기’는 한국의 근대화시기에도 결코 근대화 되지 못했던 당시의 신체 접촉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와 도덕률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김지멍의 <언프리 허그>(2018)와 <셀프 쿠션>(2018)은 아이돌 팬덤과 소위 오타쿠로 불리우는 대중문화적 이미지 속 몸에 대한 가치 평가와 모순성에 대해 질문한다. 조현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을 통해 개인의 ‘존재감’이 결정되는 3D 게임을 제작했다. 이 게임 속에서 접촉은 육체의 존립 즉, 생명의 소실과 연장을 결정짓게 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오민 에 등장하는 몸은 결코 서로를 인지하거나 접촉하지 않는다. 그들은 사전에 조율된 스코어에 따라 스스로의 방향을 찾거나 걸음을 옮길 뿐이다. 여기서 신체는 리듬과 이미지 그리고 공간에 하나의 규율과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물성 그 자체이다. 한편, 박카로는 피부 접촉에 관한 의사과학적 접근을 보인다. 접촉이 일어났을 때 번식되는 세균에 대한 페이크 다큐멘터리는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지식과 믿음의 체계를 되짚는다. 유신애 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타자를 규정짓는 디지털 위생 관념에 대해  촉각, 시각 등의 신체의 감각을 중심으로 표현한다. 장지아 는 세계인권선언문에서 발췌한 6개의 단어인 자유(Freedom), 거부(Denial), 평등(Equality), 저항(Resistance), 독립(Independence), 인권(Human)이 쓰인 티셔츠를 입은 6명의 퍼포머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과 전유 사이의 묘한 공포와 쾌락을 나타낸다.

이렇듯 몸과 접촉에 대한 각기 다른 온도와 시각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우리가 진정성의 역사에서 간과해 왔던 감각의 예민한 표층을 건드린다. 오래전부터 사회와 예술에서 인간 신체의 감각은 다층적으로 사유되어 왔다. 하지만 종종 이러한 감각들을 시대의 목적과 명분에 따라 때때로 묵인되어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오늘날 이러한 영역이 사회의 정의나 규범의 분류 비집고 뚜렷이 자리한 것은 그 감각의 주인이자 유일한 증인인 우리 자신, 몸이 언제나 여기 실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박수지, 송고은, 신현진
(아트스페이스 보안 큐레이터)

Introduction

Artspace Boan  presents  which deals with the signs of contemporary attitudes and senses of ‘body and contact’ from August 21 to September 6, 2018. Today, body has become the battleground of gender issues as well as a laboratory filled with desires or fears of evolving into a cyborg. In addition, it is the space in which the ultra-extremes of popular culture commonly referred to as ‘mukbang’* and ‘physical fitness’ flourish, and it is the object which receive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manner hands**’, which coordinate physical distances in the Korean society.

At one point in time, human body was misunderstood to be under full control of the spirit. Later it was recognized to be a significant agent which expresses the will itself,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philosophy of psychoanalysis and brain scienc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history, the body dealt with in follows the theme of various senses of contact. The participating artists in the exhibition presents a wide spectrum of thoughts, starting from sexual issues in which the word ‘body’ and ‘contact’ arouse the most instinctive responses, to a space of materiality composed of protein, fat and water, and to a space of chemical behaviors where the human will and senses are evoked.

Are there discrepancies between a body and another body, a body and individuals senses created by a contact surrounding the body and the ensuing social relationship? Does body contact have any sort of virtue or decadence? And must all of such contacts end up submitting to ethical standards and social relationships? (continues next column)

The exhibition consists of 7 artists’ video,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works about the divergence between contact and body which holds many implications. Ahn Eunme, instead of her performance based practice, presents her first  sound installation, which dances in-between spaces. The   (2018) is a sound installation created from a collection of stories about the wedding night of her mother’s generation. The ‘Gorshigee’ in the work offers a glimpse into the social atmosphere and ethical code surrounding physical contact, which was unmodern despite the strong wind of modernization. Kim Jimmmmmung’s (2018) and   (2018) questions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evaluation of the body that consumed by images of popular culture of the so-called idol fandom and otaku. Cho Hyun’s  is a 3D game which determines the ‘presence’ of individuals through social contact with others in a virtual reality space. In this game, ‘contact’ is an important yardstick which determines the loss and extension of life,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t existence of the body. The performers in Oh Min’s  never acknowledge each other or come in contact to each other. They simply pursue their directions or take steps in accordance within the pre-arranged scores. The body expressed here is materiality itself which creates rhythms, images,a single rule and a system in a space. Park Karo takes a pseudoscientific approach to body and contact. The fake documentary about germs which proliferate when a contact is made, points to how the facts and belief systems impact the way we see the world. Yoo Sinae’s  deals with the question about the sense of digital hygiene, as a way for an  individual to characterize another individual in the digital age through the form of the body senses such as touch and vision. Chang Jia’s expresses the sense of fear and pleasure about contact and ownership through the saliva of the others produced by and between 6 performers who are wearing T-shirts with words ‘Freedom’, ‘Denial’, ‘Equality’, ‘Resistance’, ‘Independence’ and ‘Human’ printed each. These 6 words were extracted from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s such, the works which display different temperatures and perspectives on body and contact touch upon the sensitive layer of senses we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authenticity. Since the very beginning, art has been making multi-layered use of the human body’s senses. However, such senses were tolera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ause of different ages. Nevertheless, such an area was able to remain in the ranks of social justice and norms until this day precisely because the owner as well as the only witness of such senses, our very selves, our bodies always exist here and now.  

Mukbang*
Mukbang is short for ‘eating broadcast’, and it is a term newly coined and widely used in Korea since late 2000. Online programs in which hosts eat and interact with their audience at the same time became very popular, and the media an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dopted this form of broadcasting afterward.

Manner hands**
Manner hands refers to the gesture of men which tries to minimize physical contact with women in the Korean society.

Opening Reception / 2018. August. 21 (Tue), 18:00pm,  33MARKET (BOAN1942 1 F)

Artist / Kim Ji Mmmmmung, Park Karo, Ahn Eunme, Oh Min, Yoo Sinae, Chang Jia, Cho Hyun
Period / 2018. August 21 – September 6
Visiting Hours / 12:00pm – 18:00pm (Closed on Mondays)
Venue / Artspace BOAN 1, 2
Curators / Park Suzy, Song Goeun, Shin Aletheia Hyun-Jin
Organization / BOAN1942
Funded by / Art Council Korea

Public Program

  1. Performance
    Kim Jimummmmg will perform 5 sessions of the throughout the exhibition period.
    Date: August 21st, 25th, 26th, September 1th, 2nd, 4-5PM
    Venue: Artspace Boan 1
  1. Performance
    Park Karo’s performance will be performed during the opening reception .
    Performers: Koh Yeseul, Kim Gunn, Kim Biki, Kim Kidows
    Date : August 21st, Between 6-7PM
    Venue : BOAN1942 1 F,  33MARKET
  1. Panel Discussion
    Date : September 4th, 6 PM
    Venue : Artspace Boan 2
    Panelist : Oh Min, Andrew V. Uroskie

Participating Artist / 참여 작가

Oh Min / 오민

는 카메라와의 거리가 모두 다른 피사체들이 좌/우/정면을 바라보며 가만히 서 있거나, 좌우 방향을 바꿔 이동하거나, 걷거나 달리는 장면이 반복해서 등장한다. 작품 속 퍼포머들은 결코 서로를 인지했다는 표시를 내거나, 접촉하지 않는다. 그들은 사전에 조율된 스코어에 따라 본인의 방향을 찾거나 걸음을 옮길뿐이다. 서로에게 가까이 다가가는듯 하지만 결코 부딪히지 않는다. 그러나 화면의 프레임 안에서만 퍼포머의 물리적 거리가 변화하는 것일뿐 실제로 그들의 거리는 영원히 만날 수 없는 평행운동에 가깝다.

오민은 암스테르담과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 작가이다. 그의 작업은 추상과 구상의 컴포지션을 만든다. 이때, 시간, 공간, 인간, 오브제, 이미지, 소리, 움직임, 장면, 행동, 태도, 방향, 관계, 강도, 속도, 역할, 과정, 그리고 질문 혹은 아이디어(예를들어, 촬영 과정이 공연이 되는 순간, 관객으로서의 안무가, 관객으로서의 공연자, 스코어가 되는 공연, 최종 공연이 되는 연습, 반응이 춤이 되는 순간 등)와 같이 공연을 구성하는 요소를 컴포지션의 재료로 사용한다. 콤포지션의 로직은 어린 시절 피아니스트로 트레이닝 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익숙해진 음악 언어에 기반한다. 공연에 대한 오민의 관심은 불안의 감각에 대한 집착에 기인하며, 불가역적이고, 즉각적이며 상호교환적인 상황을 통제하기 위한 인간의 행동(계획하기, 결정하기, 훈련하기, 시험하기 등)에 대한 관찰을 수반한다.

www.min-oh.net

Chang Jia / 장지아

에는 세계인권선언문에서 발췌한 6개의 단어, 자유(Freedom) / 거부(Denial) / 평등(Equality) / 저항(Resistance) / 독립(Independence) / 인권(Human)이 인쇄된 T-셔츠를 입은 6명의 퍼포머가 등장한다. 자유(Freedom)가 인쇄된 옷을 옷을 입은 첫 번째 퍼포머가 캐러멜 여러 개를 입 안에 넣어 거부(Denial)의 옷을 입은 두 번째 퍼포머 입에 전달한다. 퍼포머들은 인쇄된 단어에 어울린다고 여겨지는 포즈를 취하며 입에서 입으로 캐러멜을 전달한다. 마지막 인권(Human)이 적힌 옷을 입은 퍼포머는 홀로코스트 사진에 기록된 목이 잘린 나체 남성의 형상을 뱉어낸다. 장지아의 는 타자의 타액을 통해 접촉되는 캐러멜 덩어리가 세계인권선언문에서 발췌한 여섯 개의 단어를 전유하는 동안 발생되는 공포와 쾌락을 동시에 시사한다.

장지아의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금기와 사회적 터부의 묵인된 기준점을 배반하고 일탈한다. 그러한 이유로 그녀의 작품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전시에서도 매번 논란의 대상이 되어 오고 있는데 끊임없이 현대미술의 담론 안에 문제적 작가로 다뤄지고 있다. 금기에 대한 장지아의 도발은 작가 자신과 연관된 세계를 넘어 인식의 측면으로 확대된다. 그녀의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자리 잡은 오랜 인식이나 규칙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 되묻고 사회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내재된 규율이나 체계에 끊임없이 의문을 던진다.

http://changjia.kr/

Cho Hyun / 조현

는 타인과의 접촉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3인칭 3D 게임이다. 게임의 목표는 주어진 시간동안 개인의 체력과 존재감 치수를 유지하는 것이다. 사람들을 피해다닌다면 피곤하지는 않겠지만 존재감이 감소하여 벽지의 무늬가 되어 사라져 버린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을 만나고 다닌다면, 존재감이 충족되지만, 체력이 방전되어 게임오버를 맞게 될 것이다.

조현 작가는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대립적 관계로 바라보기 보다는, 기술로써 변화는 인간의 삶과, 그 변화된 인간의 삶으로 인해 계속 변화하는 기술의 순환적인 관계에 대해 작업 한다. 기술도 곧 인간이 만든 것이기에, 기술적이면서도 기술적이지만 않은, 기술 속에 존재하는 인간성 바라본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인간성을 새롭게 표현하는 언어이자 도구로써 예술과 기술이 만나는 지점을 탐구한다. 현재 작가는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를 졸업하고, 한예종 융합예술센터에서 VR작업을 포함한 여러 융합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있다.

https://dothedotheg.wixsite.com/dothedotheg/2018-plan

Yoo Sinae / 유신애

는 오늘날 사회에 깊숙이 침투 될 수 없는 내면의 힘을 표현했던 (2016) 니베아 회화 작품의 연장선으로 출발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타인을 규정짓는 위생적 관념, 그리고 디지털 위생에 대한 질문을 촉각, 시각 등의 신체의 감각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유신애는 영상, 설치, 텍스트, 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스위스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는 최근 몇 년간 신자본주의의 도덕적 명령구조와 자아 착취 사이에 관한 아이러니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 개개인의 태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작품 활동 중이다. 주요 전시로는 쿤스트 하우스 랑엔탈, 다자오 아트페스티벌 광저우, 노이마에스터 베를린, Playtime 프로젝트 엘에이, 바젤 스위스 아트어워드 등이 있으며 스위스 베른시, 서울시립미술관 등 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2016년에는 에슐리만 코티상을, 2018년에는 스위스에서 주목해야할 비디오작가 5인(ERBPROZENT KULTUR)에 선정되었다.

au9036@gmail.com

Ahn Eunme / 안은미

안은미는 <거시기 모놀로그>에서 어머니 세대가 풀어놓은 첫날밤 이야기를 채집했다. 그 당시 통용되던 접촉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와 도덕률을 그들의 음성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남편과의 혼례 후 첫날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목소리들이 1930년대에 지어진 여관건물의 골조 사이에서 진동한다. 혼례 복장을 한 사진 속 인물은 활옷을 입고, 족두리를 쓰고, 연지곤지까지 바른채 정갈하게 앉아있지만, 프레임을 뚫고 나오는 시선은 전통 혼례의 전형성으로부터 관람자를 분리시킨다. <거시기 모놀로그>는 한국사회의 여성-신체-윤리를 아우르며 접촉의 사회적 장소를 찾아나간다.

안은미는 “인간은 춤추는 동물이다”라는 기조 하에 이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춤의 자연사를 중심으로 안무를 창작하며 아시아의 피나 바우쉬로 주목받고 있다. 1988년 창단한 안은미컴퍼니는 한국, 미국 유럽 등 세계무대를 대상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며,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신비한 색감과 언어, 에너지 유머를 특징으로 관습의 틀을 깨는 파격적인 춤으로 현재 세계 무용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작품인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 <아저씨를 위한 무책임한 땐쓰>,<사심없는 땐스> 등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무대에서 폭발적인 사랑을 받고 있으며, <안심땐쓰>,<대심땐쓰><바리>, 역시 유럽 무대의 러브콜을 받아 근대 이후에 최초의 개인 무용단의 새로운 역사를 갱신하고 있다.

ahneunme@gmail.com

Park Karo / 박카로

박카로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정의하는 지식 체계와 이를 지탱하는 믿음의 체계 그리고 그 구조를 형성하는 접촉과 촉지각을 탐구한다. <접촉에서 반영된 세균의 이해>외 세 작품에서는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새로운 세균를 소개한다. 이 세균은  여러 논문과 섭외된 전문가로부터 관객에게 자세히 설명되며 미래의  피부접촉에 의한 사망 발생율 증가를 경고한다. 

쉬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의 모티브로 착안해낸 ‘없는 것을 있게 하기’가 작업의 주를 이루고 있다. ‘없는 것을 있게 하기’는 모든 미디어를 도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예술가뿐 만 아니라 과학자, 건축가, 사회학자 등 여러 직업의 ‘시선으로 관찰하기’를 말한다. 이는 나에게 있어 기존에 있던 것들에 대한 ‘재 관찰하기’로 시작된다. 이것은 ‘신경 쓰지 않는 것에 대한 신경 쓰기’ 혹은 ‘신경 쓸 수 없는 것에 대한 신경 쓰기’가 될 수 있다. 더 세밀하고 체계적인 ‘쓸모 없음’을 위해 연구하며 가장 기본적이며 간단하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작업의 방식을 모색 중이다.

www.parkkaro.com

Kim Jimummmmg / 김지멍

김지멍은 몸과 접촉에 관계한 노동과 운동 사이의 모순적 기준을 되짚는다. 작가 스스로 뮤즈가 되어 오타쿠 문화 특유의 굿즈 형태로 제작된 <셀프 쿠션>, 몸의 노동을 자본으로 환원할 때 발생되는 양가적 기준에 질문을 던지는 <언프리허그> 퍼포먼스 등은 대중문화 속에 그려지는 몸과 접촉 환경의 특이점에서  작가가 발견한 언어와 이미지의 재조합이다.

미술재벌을 목표로 열심히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http://jimmmmmmmmmmmu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