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럭03 – 두번째 공부
‘종자 그리고 쌀‘
김수향 대표는 자연농의 가능성 모색하지만 고집하지 않는다. 자연농은 그것 자체로 경제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농법은 아니며, 자급을 중심으로 하는 다품종소량생산이자 최대한 자연의 힘으로 자연스러운 땅을 만드는 무경운, 무멀칭, 무농약투입 농사이자 라이프스타일 이기 때문이다. 자연농은 일본에서 시작된 농법이고 아직도 가능성을 실험중 이라. 일본 자연재배의 현황이나 사례를 소개하고. 한국에서는 자연재배 농가가 몇 안되는 상황과 현실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그리고 자연재배 작물, 토종 작물을 요리해 본 본인의 경험과 그 가능성을 소개합니다.
우보농장, 이근이 농부는 농법의 다양성과 실제 유기농법에 대해 설명해주고, 씨앗과 토종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본다. 이근이 농부와 김수향 선생님이 30~40분 정도씩 이야기 한 후 참여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다.
여는말.
몸, 흙, 쌀과 밥, 땅, 장소, 지역을 넘어….
몸(신체)은 내가 사는 집이다. ‘몸’은 무형계(無形界)과 유형계(有形界)를 연결하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이며. 우리를 담고 있는 최소의 ‘집’이다.
그래서 비트겐슈타인은 ‘인간의 몸은 인간 영혼의 최고그림’이다라고 했다. 내 집(몸,신체)은 지구라는 행성, 어딘가에서 라도. 환대 받을 자격이 있지만 자신(인간)만이 지구의 최상위계층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하고. 사람들이 지구라는 행성 위에서 점점이 흘어져 같이 살 수 없는 까닭에 결국에는 서로의 존재를 인정 해야한다. 이 지구라는 복잡계생명네트워크 에는 매미, 귀뚜라미, 오소리, 고양이, 나무, 풀들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몸도 지구상의 특정 지역, 장소, 땅에 대해 다른 종, 다른 몸(신체) 보다 더 우선적인 권리를 갖고 있지는 않다.
우리의 몸이나 세상이 우리가 계획하고 예상한대로 결코 만들어지거나 움직여 주진 않겠지만. 내일이 오늘의 선택에 달려있는 것 이라는 것은 분명하니. 우리는 이렇게 포괄적으로 생각하고 횡단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예술가 혹은, 예술가적 태도로 생존하며 예술 생태계와 일반 생태계속에서 어떻게 두려움 없는 미래를 만들어가야 할지 생각해야 한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가장 기본적 인터페이스인 내 몸(신체)에 대한 개인 주체성은 고정된 어떤 실체로 규정될수 없는 삶, 생존이라는 엄연한 일상들, 매순간의 선택들이 켜켜히 쌓여서 우리의 몸이되고 운명이 된다. 우리의 삶은 이렇게 스스로 디자인 될수 있다. 우리는 누구와 작업 하고, 누구와 같이 생각 할까, 무슨 책을 읽을까… 등은 자신의 문화와 운명을 형성하는 중요한 선택을 매번 하게 되고. 세포로 이루어진 몸을 내집으로 삼아 살아가는 우리는 우리 몸안으로 들어가는 음식이 어디서 오는가를 질문해야 할수 밖에 없는 전 지구적 위기에 처해 있다.
이번에 우리는 이제 무엇을 먹을까? 우리들이 먹는 쌀과 밥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