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루나포토페스티벌 2016

기간:
2016년 9월 6일(화) – 18일(일)
Sep 6(Tue) – 18(Sun), 2016

전시 및 행사 장소:
국립고궁박물관 마당, 통의동 보안여관, 사진위주 류가헌, 이용재 아키텍츠+SIDE, 길담서원, 공간291, 더북소사이어티 외 서촌 일대
Square a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Gyoungbokgung Palace / Artspace Boan 1942 / Mainly Photograph’s Gallery, Ryugaheon / Leeyongjae Architects’ Window Gallery+SIDE / Gildam Seowon / Space 291 / The Book Society / Seochon Alleys

전시 Exhibition

통의동 보안여관 < 추적자; 그들은 너무도 사랑했다>
사진위주 류가헌 < 그림자가 일어섰다>, < 불완한 직선>
보안여관 공사현장 < MARK>, < Vote No.1>
길담서원 < 인왕산>
이용재아키텍츠+사이드 < Deposit>, < The Street and Modern Life>, < 365247>
공간291 < growingthat>
우물집 < 시시관광짤방>

프로그램 Program

달과사진의밤 Lunar Photo Night
시시관광 Sisi Tour
루나포토마켓 Lunar Photo Market
작가와의대화 Artist Talk
라이브러리 Library

ABOUT

OVERVIEW

Seoul Lunar Photo Fest is an event thatbrings to life the meeting placebetween people and photography. Inan era of the advent of smartphonesand the diffusion of hundreds ofthousands of photos a day, it wasinevitable that concerns over the wayin which we encounter photos anddiscern good images would arise.Moving beyond the exhibition space ofuniformly hung frames, it’s onlynatural that the demands of thecontemporary world would expand thedefinition of images include music andother video media. Centered on theSeochon(West Village) area, SeoulLunar Photo Fest seeks to convey thebeauty of these new channels ofimages through experimental,free-form displays. Diverse work willbe explored through collaborativeefforts by photographers, musicians,sound creators and visual artists.

Of course, this kind of formal attemptis predicated on the very medium ofphotography. Searching for a themebelonging to the times, expanding itshorizon through voluntaryparticipation of both artist andaudience—these are also driving forcesthat move Seoul Lunar Photo Festival.This festival also strives to contributeto diversifying the ecosystem ofphotography by assuming the role of aplatform where young artists canexpand their output.

서울루나포토 페스티벌은 사진과의 친근한만남을 꿈꾸는 행사다. 스마트폰의 출현과함께 하루에도 수십억 장의 사진이 생겨나고전파되는 시대, 좋은 사진을 알아보는 안목못지않게 그 사진과 마주하는 방법에 대한고민 또한 깊어질 수밖에 없다. 액자가가지런히 걸린 전시장을 벗어나 이제 사진이좀 더 유연하게 대중을 만나고, 음악이나 다른영상 매체와 교감의 폭을 넓히는 일은자연스러운 동시대의 요구처럼 보이기도한다. 서울루나포토는 서촌 중심의 문화공간에서 펼쳐 내는 실험적이고 자유로운전시와 함께 동영상 형식으로 또 다른 사진의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진가,뮤지션, 사운드 디자이너, 비주얼 아티스트등이 공동 작업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를 선보인다.

물론 이러한 형식적 시도는 사진 매체의 힘을바탕으로 한다. 편협하지 않은 다양한 시선의작업을 통해 시대를 관통하는 화두를모색하고, 작가와 관객들의 자발적 참여를통해 그 지평을 확장하는 것도 서울루나포토페스티벌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다.더불어 이 행사가 젊은 사진가들의 활동의폭을 넓히는 플랫폼이 됨으로써 문화 예술 속사진의 생태계를 다원화시키는 데기여하고자 한다.

THEME – ID

Photography has been a means of categorizing and identifying. A direct example would be immediately after the advent of photography, when the French National Police started to archive images of criminals’ bodies. Photo ID, a tool by which one demonstrates he or she is a member of a specific society, is now an inevitable part of life. In order to acquire an ID card from a society with more security and opportunity, people risk their lives to cross borders. But one asks how much of an individual’s unique identity is revealed through these particular photographs. Without a photo ID to show some become refugees, while a person who is biological male yet identifies as female exist outside the confines of photo ID categorization. In this sense photographs in ID cards are less a demonstration of an individual’s identity and rather acquire greater significance as a collective system constructed by a society in a given period of history.

This function of photography goes beyond the photo ID. Photography both records the system’s operational principle through various ways and visualizes its limitations. Dutch photographer Hans Ejkelboom’s 20-year process of archiving passers-by all over the world clearly shows that people’s attire, ostensibly an expression of one’s individuality, is in reality a form of collective consumerism that speaks for a trend. Marks of the ‘fire shots’, captured by Kim Ikhyun on a medium-format camera, is a kind of wound and icon imprinted on our bodies during a specific era of tuberculosis prevention. Swiss photographer Yann Mingard deals with another kind of identity problem. Visiting over twenty research centers throughout Europe where human, plant and animal genetics and data are preserved, he archived the very scientific act of attempting to preserve earth’s identity.

With our world becoming evermore diversified, past demarcations of identities are becoming obscure, while the photographic gaze to investigate into these boundaries are becoming more acute. Ranging from the ecosystem’s camouflage, the emergence of class and to the reconstitution of posture, the visual identities delivered by photography allow us to look at ourselves as a portrait of an era that has never occurred to us before.

사진은 오랫동안 분류와 식별의 수단이었다. 사진의 탄생 직후 프랑스 경시청에서 범죄인의 신체 아카이브가 탄생한 것은 단적인 예다. 한 사회의 구성원임을 증명하기 위해 이제 ID 사진은 피해갈 수 없는 의식처럼 되었다. 보다 안전하고 기회가 많은 땅의 ID 카드를 얻기 위해 사람들은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는다. 그러나 이 사진들은 과연 얼마만큼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일까. 신분증이 없어 누군가는 난민의 신세가 되고, 생물학적 남자로 태어났으나 여성의 정체성을 가진 이들은 신분증의 구별 방식 밖에서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ID 사진은 개인의 정체성이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가 만들어낸 집단의 시스템으로서 더 큰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비단 ID 사진이 아니더라도 사진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기록하고, 그 한계를 가시화시킨다. 네덜란드의 한스 아이켈붐(Hans Ejkelboom)이 20여 년 동안 세계 각지에서 기록한 행인들의 사진은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입는 옷들이 사실은 유행 대변하는 집단적 소비 형태라는 것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김익현이 중형카메라로 찍은 ‘불주사’ 자국은 결핵 예방이라는 취지 아래 특정 시대 우리 신체에 남겨진 일종의 상처이자 아이콘이다. 또한 스위스 사진가 얀 밍가드는 동물과 식물, 인간의 유전자와 데이터를 보존하는 유럽 20 여 곳의 연구소를 방문해 종의 보존을 통해 지구상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과학적 행위를 기록함으로써 다른 차원의 정체성의 문제를 다룬다.

세계가 다원화 되면서 기존의 정체성을 둘러싼 경계는 모호해지고 그 경계를 탐색하려는 사진의 시선 또한 예리해진다. 생태계의 위장술, 계층의 탄생, 포즈의 재구성까지 사진이 보여주는 시각적 정체성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시대적 초상으로의 우리를 들여다 보게 한다.

EXHIBITION

추적자; 그들은 너무도 사랑했다
Cheser; They Seriously Loved

통의동 보안여관
Artspace Boan 1942

기획 : 최성우, 신양희
참여 작가: 서평주, 이우성, 홍진훤, 신학철 아카이브
디자이너: 배지선
Curator: Choi Sungwoo, Shin Yanghee
Artist: Seo Pyeungjoo, Lee Woosung, Hong Jinhwon, Shin Hakchul archive
Designer: Bae Jeesun

우리 시대는 왕이나 귀족이 통치하던 시대와 달리 국가가 인민을 통치한다. 물론 민주주의라는 외피를 쓴 국가는 자신의 주권이 인민에게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인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집합체로서, 국가는 인민의 것이라 말하지만 사실상 이는 그릇된 진술이다. 왜냐하면 국가는 인민의 것이 아니라 계급적대적인 상황을 봉합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레닌에 따르면 “국가는 계급들의 화해 불가능성의 산물이자 표현이다. 국가는 계급대립들이 객관적으로 화해될 수 없는 곳에서, 객관적으로 화해될 수 없을 때에, 객관적으로 화해될 수 없는 한에서 생겨난다. 바꿔 말하면, 국가의 출현은 계급대립들이 화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해주는 것”(『국가와 혁명』, 레닌, 16p)이었다. 레닌이 진술한 것처럼 국가의 출현은 계급 간 대립을 억제할 필요에서 생겨났고 동시에 계급 간 충돌 속에서 생겨났으므로, 경제적으로 지배적인 계급의 것이 되었다.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국가는 결국 정치경제를 지배한 자들의 것이자 그들의 질서를 공고히 하는 이데올로기적 장치로 기능한다. 따라서 아무리 국가가 민주주의를 걸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현질서와 체제를 옹호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그래서 “민주주의는 다수에 대한 소수의 복종과 동일한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는 다수에 대한 소수의 복종을 인정하는 국가, 즉 한 계급이 다른 계급에 대해, 주민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해 체계적 폭력을 사용하기 위한 조직(『국가와 혁명』, 레닌, 139p)”이라는 레닌의 진술은 의미심장하다. 이처럼 민주주의 또한 국가의 질서를 정당화하는 도구가 될 때, 민주주의의 진정한 정신을 내포할 수 없다. 현재의 국가는 표면적으로 민주주의라는 정치제도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를 떠받드는 권력 기구로서 자본과 한몸이 되어 인민을 통치한다.

이처럼 국가가 자본의 운동을 견인할 때, 인민은 한낱 인적자원에 지나지 않는다. 인민을 국가의 발전 혹은 자본가의 자본을 증식하기 위한 도구로 규정한다면, 인민은 현질서에 복무하고 체제 유지에 일조한다는 점에서 자유롭지 못한 존재가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인민은 이 사회를 견인해내는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한국사회에서 인민이라는 말은 억압되고 왜곡되어 왔고 지금도 수면 아래 있는 이름이다. 하지만 그 이름의 문제를 떠나 인민이라는 존재는 계속해서 존재해왔고 지금도 사라진 존재들이 아니다. 인민은 국가-자본에 순응하는 듯 보이지만 여전히 국가-자본에 적대하는 존재라는 사실은 부정될 수 없다.

이러한 인민의 존재를 구체화한다는 것, 특히 미술의 언어로 구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인민을 재현한다는 것에 대한 필연성이 없을 때, 그것은 유효하지 않은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1980년대 한국미술에서 민중으로 그려졌던 인민은 역사적 변화에 대한 반응이었다. 그들 예술가들이 재현하고자 했던 인민의 모습은 허구일 수도 있지만 실체이기도 했다. 국가 발전이라는 이름으로 그 어떤 희생마저도 정당화되었던 시대를 지나 인민이 역사의 주체로서 모습을 드러냈을 때, 미술이 그것을 마주하는 것은 필연이었다. 당시 민중미술에서 인민의 모습이 착취와 억압으로 희생되는 모습으로 그려졌든 혹은 어떤 변화를 동인하는 낭만적이고 실존적 모습으로 그려졌든 그 모두 현실에 존재하는 인민의 모습이었다. 이제 그러한 힘을 갖는 인민의 모습을 미술의 장에서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사회의 변화와 함께 미술의 언어가 다양화되고 분화되면서 예술가 개인에게 현실 세계가 침잠하는 동안, 그 개인의 내면을 통해 드러난 세계의 모습에서 사회의 명증한 상과 그 내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찾는 일은 요원해졌기 때문이다.

이 전시 <추적자; 그들은 너무도 사랑했다>는 미술가가 사랑했던 인민 혹은 인민을 사랑했던 미술가를 가시화하는 전시이다.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규정된 인민에 대한 전제는 깔려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예술가들이 마주한 인민의 모습을 미술의 언어로 드러낸다. 먼저 참여작가 서평주, 이우성, 홍진훤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만났거나 관찰했던 인민을 추적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거나 영상으로 담아낸다. 또한 이 전시에서는 신학철의 1980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 아카이브 형태의 전시를 병행한다.

신학철은 1980년대 이후 자신의 조형언어와 사회정치적 입장을 완전히 바꾸었으며, 이제 일군에서는 80년대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라는 칭호를 얻고 있다. 하지만 이 전시에서 신학철이라는 작가의 이름을 빌려 80년대 민중미술을 복원하거나 정당화하려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수탈당하고 수난당한 인민에서부터 역사적 주체, 소시민으로서의 인민 등 자신이 마주한 인민을 여러 방식으로 표현했고, 이 전시에서는 그의 작업과 인민에 대한 현재적인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한편으로 서평주, 이우성, 홍진훤 작가의 기존 작업이 인민에 대한 구체적인 상을 재현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서평주가 한국근현대사를 통해 관철되었던 국가의 폭력과 권력을 비판적 읽어내고자 했다면, 홍진훤은 자본과 권력의 힘에 밀려나간 사람들에 관심을 두면서 그들이 사라진, 부재의 풍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이들과 달리 이우성의 작업은 자신의 삶과 자신 주변의 이야기에 초점을 둔 좀 더 개인적인 서사를 재현하고 있다. 이들 작업의 방향은 다르지만 이 전시에서는 인민이라는 주제어를 바탕으로 모종의 공통된 지점을 찾고자 한다.

이 전시는 세 명의 젊은 작가 서평주, 이우성, 홍진훤의 작품과 신학철 작가의 작업을 통해 인민을 마주하려는 예술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며, 여전히 현실에 존재하는 인민을 현재화하고자 한다.

글. 신양희 객원큐레이터

< Chaser: They Seriously Loved >is an exhibit that visualizes the existence of the people. When the state assumes the role of both capitalism and the capitalist, the logic of such system demands that the people always be the victim. Of course, the people are not completely innocent, as they also struggle with the duality of serving and contributing to maintaining the current order. Bringing awareness of this reality in terms of class is a task not so easy. Just as class is not a naturally occurring entity, so is class awareness. Still, one cannot deny that, in terms of class conditions, the people is posited hostile to the state/capital—the state/capital and the people are positioned in a hostile relationship which is fundamentally irreconcilable in a capitalist system.

If we keep in mind that art is wholly integrated into the state/capital, it is difficult for art to face the revolutionary nature of the people while claiming to be its friend. Despite this quandary, the exhibit attempts to show the possibility an art that can, in fact, be reconciled to this mode of existence called ‘the people’ as well as its movement. How does the artist love the people? The participating artists Seo Pyeungjoo, Lee Woosung, Hong Jinhwon, traces the image of the people as the artists have encountered in their own lives. This could be in the form of a specific event or personal experiences projected, but it is essentially to find some kind of samenes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eople, In parallel with this is another, archival exhibit of the works of Shin Hakchul who strived to bring into his canvas the lives of the people post-1980. The archival exhibit will explore the people, held dear by Shin, were represented in his body of works.

This exhibit as a whole is to bring the people—still alive and active—in the present tense.

그림자가 일어섰다
The Shabow Stands Up

사진위주 류가헌
Mainly Photograph’s Gallery, Ryugaheon

기획: 조예인
참여 작가: 이재갑
Curator: Cho Yaein
Artist: Lee Jaegab

한 장의 사진이 있다. 언뜻 보기에는 그저 어두운 동굴 혹은 터널일 뿐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당시비행기의 주요 부품을 만들고보관하던 일본 오사카의 ‘다카츠키다치소’다. 10미터가 넘는 거대한지하 시설을 만들기까지 3500명의조선인이 강제 징용되었다. 사진가 이재갑이 셔터를 누를 때, 그의그림자가 우뚝 일어섰다. 곧추선그림자는 사진에 크고 짙은 얼룩으로남았다.
발아래 붙어 있어야 할 그림자가일어선 것은 그때 한 번의 일이아니었다. 나가사키 원폭자료관에서 똑딱거리는 초침 소리를 들었을 때도,베트남 전쟁 증오비 앞에서너울거리는 나뭇잎을 보았을 때도그림자는 일어섰다. 무슨 말을 하려는양 검은 형체는 일어서고 매달리며카메라에 담겼다.

그렇게 그림자는 혼혈인 1, 2, 3세대에 대한 기록 ‘또 하나의 한국인’,경산 코발트 광산 민간인 학살 사건을담은 ‘잃어버린 기억’, 일제강점기에들어선 건축물을 찍은 ‘식민지의잔영’, 일본 내 조선인 강제 연행지역과 관련된 유산을 기록한 ‘상처위로 핀 풀꽃’, 베트남 전쟁 당시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을 기록한증오비에 대한 작업 ‘하나의 전쟁 두개의 기억’까지 내내 사진에 남았다.때때로 그림자는 다른 형체와흔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림자는 이재갑 자신이었다. 결벽에가까운 작가 정신을 가진 그이지만,작업 과정에서 이따금 동요할 때가있고 심한 통증을 느낄 때도 있다.그렇게 엮어 낸 작업 뒤에는 늘 이재갑자신이 사진에 남았다. 바로<그림자가 일어섰다>의 사진들이다.그래서 이들 사진은 역사를 말하지만멀리 흘러가 버린 타인들의 이야기가아니라 작가 자신의 이야기이기도하다. 또한 그의 사진을 바라보며다가설 우리 각자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 ‘그림자가 일어섰다’는 황정은의소설 <백의 그림자>(민음사,2010)에서 빌려 온 표현입니다.

There’s a picture. At first glance,it looks like nothing more than adark cave, a tunnel, yet this is‘Takatsuki Tatsiso’ of Japan’sOsaka, the very site whereairplane parts weremanufactured and stored duringthe Second World War. 3,500 ofthe Choseon people wereforcefully conscripted intobuilding this undergroundfacility ten meters deep into theground. When photographerLee Jae-gap clicked the shutterof his camera, his own plumb,towering shadow was captured.It remained as a broad, darkstain.

This is not the first time ashadow stood upright, escapingits proper position under one’sfeet. It was found upon hearingthe clock tick in the AtomicBomb Museum in Nagasaki aswell as in the wavering foliage infront of the Vietnam Warmonument of hatred. As if tosay something, the form stoodup, dangling, and was capturedon camera.

This shadow reappears inphotographic form all throughthe works by Lee. , , . At times, itwould almost manifest itself indiffering forms and traces.

This shadow is Lee himself. Hisartistic spirit borders on thefastidious, but in his workprocess are occasional unrest aswell as severe pain. Behind suchinterwoven works remains Leehimself. The photographs of isexactly that. Thus, thesephotographs attest tohistory—not a history compiledof remote stories of others, butone that is also the artist’s ownstory.

*’The shadow stands up’ is anexpression borrowed from thenovel “One Hundred Shadows”by Hwang Jungeun.

불완한 직선
The Unstable

사진위주 류가헌
Mainly Photograph’s Gallery, Ryugaheon

기획: 조예인
참여 작가: 성남훈
Curator: Cho Yaein
Artist: Sung Namhun

나라가 더 이상 자신들의 안전을보장해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생존을위해 삶의 터전을 떠날 수밖에 없는사람들. 일제 침략과 한국전쟁이라는멀지 않은 근대사 속에 난민의 역사를지니고 있는 우리에게 ‘유럽난민사태’는 먼 나라 남의 이야기가아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5천만 명의사람들이 난민의 삶을 살고 있고,질병이나 배고픔으로 사망하는난민의 80%가 여성과 노인, 어린아이들이다. 따라서 ‘유럽 난민’의이야기는 지구촌 인류에 대한이야기이며 약하고 무구한 사람들이처한 비극에 대한 이야기다. 그들이걷고 있는 험난한 노정의 풍경들이,낯선 자연과 사물들을 배경으로함에도 불구하고 낯설지 않은 것이 그때문일 것이다.

성남훈이 1990년대부터 기록해 온난민들은 민족과 종교 갈등, 자원전쟁 등으로 인해 자신의 근거지를떠나 부유해야만 하는 희생자들이자,세계화 핵심 국가의 전략적 오류와안이한 정책이 낳은 예측 불가능한불기둥과 같은 존재이다. 수십 년이흘렀음에도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지속될 불완한 삶들인 것이다.

사진의 힘이 센 이유는 ‘부재(不在)를현존(現存)으로’ 불러오기 때문이다.지난 25년간 성남훈이 찍은 난민들의사진이 중요한 이유도 사진이 그들의존재를 증명하고 그들의 이야기를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부재한이후에라도 사진은 남아, 난민들의삶의 역사를 증명할 것이다.

Stuck in a situation where thestate can no longer guaranteetheir safety, these are peoplewho stand have no other optionbut to leave their homes andlives for survival. With our ownmodern history of Japaneseoccupation and the Korean War,‘Europe’s refugee crisis’ is noforeign story to us.

More than 50 million live asrefugees worldwide, and 80% ofrefugees who die from diseaseor starvation are women,children and the old. ‘Europe’srefugee crisis’ is thus a storyabout humanity on a globallevel. It is also a story about thetragedy that the weak andinnocent are condemned to.Perhaps this is why thelandscapes of this ruggedjourney is not wholly unfamiliardespite the backdrop ofunfamiliar nature and objects.

Refugees documented by SungNamhun since the 1990s arevictims having to leave theirhomes and be left adrift due toethnic and religious conflictsand wars over resources. Theyare also like unpredictablepillars of fire brought about bythe strategic errors andinsouciant policies from keynations that coerceglobalization. Even afterdecades have past, these arelives that are to remainincomplete.

Photography’s power lies in itsability to ‘bring absence intoexistence.’ This is also whyimages of refugees documentedby Sung for 25 years isimportant. Photographs attestto their existence and conveytheir stories. Even in theirabsence, the photographremains—to attest to the historyof the refugee life.

자국
Mark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건축 현장
New hall of Artspace Boan 1942’s construction site

기획: 이정민
참여 작가: 김익현
Curator: Lee Jungmin
Artist: Gim Ikhyun

신체는 고유 유전자로 구성되어있지만, 그 고유성이 시대와 제도에따라 획일성으로 바뀌기도 한다. 한때불로 주사 바늘을 소독했다 해서 일명‘불주사’로 불리는 결핵 예방 접종은세계보건기구가 출생 후 최대한 빨리맞히도록 권고하는 백신이다. 그러나어깨의 삼각근에 접종하는 이 예방주사는 켈로이드라는 상처를 남긴다.최근에는 이 상처가 싫어서 추가비용을 부담하고 접종 방식을달리하는 일도 유행한다. 그러므로일정 세대가 지나면 신체에서불주사의 흔적을 찾는 일이 지금보다쉽지 않을지도 모른다. 김익현은 마치낙인처럼 고유 코드처럼 몸에 남겨진불특정 다수의 불주사 자국을기록한다. 이 신체 아카이브는비슷하게 반복되는 유형들을 만들어내지만, 기존의 신체 아카이브와는반대의 지점으로 나아간다.

The body is composed of aunique genetic makeup, but thisuniqueness can often turn intoconformity depending on thetime and system. Once knownas the ‘fire shot’ —because thesyringe needle was known to bedisinfected by fire—thisvaccination against tuberculosiswas recommended by WHO tobe given soon after one’s birth.When given on the deltoidregion, the shot leaves a woundknown as a keloid. In an effort toavoid this keloid formation,many have been recently optingfor a different form ofvaccination despite the extracost. With the passage of acertain generation, the keloidalwound on the body wouldbecome a rare sight. Kim Ikhyundocuments many andunspecified fire shotwounds—it’s as if the body hasbeen branded with a distinctcode. This archiving of the bodyproduces repeating patterns,but it advances in a directionopposite from existing archiveson the body.

VOTE No.1

통의동 보안여관 신관 건축 현장
New hall of Artspace Boan1942’s construction site

기획: 이정민
참여 작가: 마크 더피
Curator: Lee Jungmin
Artist: Mark Duffy

최근 유럽의 국회의원, 지역구 의원선거 기간 동안 아일랜드의 풍경은선거 캠페인 광고와 함께 다양한분위기를 연출했다. 은 아일랜드의 이선거 광고에 대한 기록이다. 후보들의얼굴을 담은 선거 포스터는 우연찮은계기로 전혀 식별할 수 없는 모습이되거나 심지어 공포스러운 분위기로탈바꿈하기도 한다. 이때 저마다의존재를 과시하기 위한 ID 사진은 식별불가능한 심지어는 식별을 방해하는유령으로 변한다.

The Irish landscape was litteredwith electoral campaignadvertising during the recentEuropean, local and nationalby-elections. ‘Vote No. 1′documents this and examinesthe culture of electionadvertising in Ireland. The seriesfocuses on the accidental, andoften gruesome, disfigurementsthe electoral candidates’ facessuffer – an unintendedconsequence of their posters’erection. The photo in an IDcard, originally a means to flauntone’s existence, is no longerconducive toidentification—worse yet, it isnow an apparition that hindersthe very act of identifying.

DEPOSIT

사이드
SIDE

기획: 송수정
참여 작가: 얀 밍가드
전시 디자인: 이용재아키텍츠

Curator: Song Sujong
Artist: Yann Mingard
Scenography: LeeyongjaeArchitects

스위스 사진가 얀 밍가드의 <데포짓>은지구 생명체의 현재 상태와 지속가능성그리고 미래에 대한 의미 심장한 질문과맞닥뜨리게 한다. 유전적 생물학적정보나 인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쌓아 두는 일은 지구 생명체에 어떤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밍가드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유럽에서생체 정보나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보관하는 21곳을 사진으로 기록했다.인류와 지구의 미래를 위한 아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데이터가 역설이게도 몹시 비현실적이고 비밀스러운 장소에서 다뤄지고 있었다.대형 카메라로 작업한 그의 어둡고정교한 사진은 쉽게 접근할 수 없는연구소의 비밀스러움뿐만 아니라 이연구가 궁극적으로 풀어내야 하는 자연유산의 신비함까지 드러낸다. 이번전시에서는 인간, 동물, 식물로 분류해접근한 그의 프로젝트 중 ‘식물’ 편을중심으로 보여 준다.

Swiss photographer Yann Mingards Depositis a work faced with the current state and sustainability of terrestrial life as well as the future. One wonders in what ways the accumulation of genetic, biological information or data on humankind can influence terrestrial life. From 2009 to 2013, Mingard photographed 21 sites where biometric data, including those in digital format, were collected and stored. The most specific and practical data for humankind and the future of earth is, ironically, handled in the most unrealistic and secretive places. Taken on a large format camera, Mingards photographs are dark and elaborate. They uncover the secretive, standoffish character of the laboratories, but furthermore, portray the mystery of natures legacy, the very subject of the research happening in these places.

인왕산 – 서울의 진경을 품다
INWANGSAN

길담서원 한뼘미술관
The Little Museum Gallery inGildam Seowon

기획: 이재성
참여 작가: 임채욱

Curator: Lee Jaesung
Artist: Lim Chaewook

서촌의 고유성을 드러내는 인왕산(仁王山)은 조선 초기에 서산(西山)이라 불렀다. 세종 이후 조선왕조를 수호하라는 뜻에서 백호를상징하는 인왕산이라 이름 지었다. 인왕산을 중심으로 중인과 내관 그리고 역관이 살았다. 지금은 주로 예술가들이살고 시민 단체와 공무원, 여행객이 머문다. 인왕산 아래 머무는 사람들은 조선의 사람들과 다른 옷을 입었지만 하는 일은 다를 게 없다. 서산이 이름을 인왕산이라 바꿔도 그 고유성이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지금, 인왕산은 시민들을 수호하며 거기 그러하게 있다.

임채욱은 그 옛날부터 사람들의 발길이 머물고 시선이 닿았음 직한 골짜기를, 백호의 전설이 스며들었을 것 같은바위를, 정선이 묵으로 담아냈듯이 사진으로 담아낸다. 몹시 회화적으로 그리고 조형적으로.

A singular to Seocheon,Inwangsan was once calledSeosan (the West Mountain)during the early years of theJoseon Dynasty. Since KingSejong the mountain was giventhe duty of defending the JoseonDynasty and was named “Inwang”after the god of the west, yet themountain was mainly occupied bymiddle class, eunuch andtranslator. Today, Seochon ispredominantly inhabited byartists, community organizers,public officials and tourists.During the Choseon era, thosewho stayed at the foot Inwangsanhad a different attire than the restof society but the work they didwas the same—just like the namechange from Seosan toInwangsang doesn’t alter itsuniqueness. The mountain nowdefends its inhabitants.

Lim Chae-wook has beencapturing photographs of valleysmuch trodden and rocks steepedwith the legends of the god of thewest—all with a painterly andformative flare reminiscent of thestrokes of Jeong Seon.

THE STREET AND MODERN LIFE

이용재아키텍츠 윈도우 갤러리
Lee Yongjae Architects’ WindowGallery

기획: 이정민
참여 작가: 한스 에이켈붐
Curator: Lee Jungmin, LeeYongjae
Artist: Han Ejkelboom

한스 에이켈붐은 다양한 나라의도심에서 행인들의 모습을 몰래 촬영해왔다. 관광객으로 가장해 카메라를 목에건 채 호주머니에 연결한 릴리스를 통해셔터를 누르는 방식으로 그는 타인의시선을 의식하지 않은 행인들의 복장과포즈를 담는다. 얼핏 보기에 강한개성의 표출로 보이는 개개인들의외모는 한스가 엄청나게 축적한 사진속에서 다시 색깔, 무늬, 디자인, 포즈등에 따라 다시 분류된다. 국적이나나이 등을 초월해 이렇게 분류된무리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잃은 채자본주의가 조장한 군중의 소비 패턴을여실히 보여준다. 집단의 정체성과 동시대성을 탐색해온 작가의 눈에거리의 패션이란 소비 사회의 욕망을집대성한 전시장이다. 작가의 여러 버전중 버닝햄 거리를 15개월에 걸쳐촬영한 사진을 동영상으로 편집한 이작품은 2017년 카셀도큐멘타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Hans Eijkelboom surreptitiously captured passers-by in different cities around the world. Disguised as a tourist, he hung his camera around his neck and clicked there mote shutter release in his pocket. This method allows him to capture the attire and postures of an unaware passer-by. At a glance, each appearance seems strongly individual, but after massive accumulation, they are categorized by color, pattern,design and posture.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nation and age,these categorized groups hold up a true mirror to the pattern of mass consumption fostered by capitalism. To a photographer who has been inquiring into collective identity and contemporariness, street fashion is a comprehensive exhibition hall for the desire of  a consumerist society. Amongst Hansworks,this is a video which compiles photographs taken over the course of 15 months on the street of Birmingham. It is scheduled to be screened at the Kassel documenta.

366247•2012

이용재아키텍츠 윈도우 갤러리
Lee Yongjae Architects’ WindowGallery

기획: 이정민
참여 작가: 케빈 오 무니
Curator: Lee Jungmin
Artist: Kevin O Mooney

케빈 오 무니는 하루 동안의 자신의모습을 일년에 걸쳐 실시간으로촬영했다. 카메라는 욕실에서 양치를 할때나 운전 중일 때 심지어는 그가침실에서 잠이 들었을 때 조차도 멈추지않고 작동했다. 자신이 방문하고 머무른모든 공간을 실험실 삼아 여과 없이기록한 총 25만 6천 장의 사진들은60분 14초의 비디오로 만들어져365일 동안의 반복적인 일상과 시간의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케빈의 프로젝트는 특정 행위나 의미 있는시간, 장소만을 기록하려는 강박을 넘어 동시대인의 생활 방식을 날 것으로보여줌으로써 동시대인의 오늘에 관한진정한 시각 아카이브를 구축한다.

Kevin O Mooney captured himselfthroughout the day in real timeover the course of one year. Thecamera never stops clickingwhether he is in the bathroombrushing his teeth or in the cardriving and even throughout hissleeping hours. The video, whichlasts for 60 minutes and 14seconds with 256,000photographs, is a compressivedisplay of both the routine life andthe passage of time. Mooneysproject is a true visual archive of acontemporary in the present dayin that it goes beyond theobsession to document a specificact or a memorable time andplace and enters into the territoryof showing the lifestyle of acontemporary in all its rawness.

GROWINGTHAT

공간 291
Space 291

기획: 김현경
참여 작가: 권희진, 이수안, 이현주,전성진, 최영, 하혜리, 함슬기, 황예지

Curator: Kim Hyunkyung
Artists: Gwon Heejin, Lee Suan,Lee Hyeonju, Jeon Seongjin, ChoeYoung, Ha Hyeri, Hahm Seulki,Hwang Yezoi

가볍고 촬영 속도가 빠른 장비,소셜미디어를 타고 전파되는 속도감에 힘입어 사진의 즉흥성과 직관성이 그어느 때보다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감각 기관은 훨씬 예민해지고, 그 예민함은 시지각이 인식하기도 전에먼저 셔터를 누르게 한다. 본능적으로낚아챈 듯 과감한 구도와 파격적인 색감혹은 내러티브를 무시한 자유로움이 동시대 젊은 작가들의 특징으로나타나는 이유다. 그러나 지극히사적이고 개성 넘치는 사진들을 무리지으면 그 속에서는 개별화하기 어려운경향과 동시대성이 드러나기도 한다.자신의 일상에서 시선을 끄는 사물,생명, 풍경을 포획해 온 젊은 작가 8인의같고 다름을 통해 SNS시대 사진의행방을 추적한다.

Photography’s intrinsicimmediacy and spontaneity seemto spread at a rate like neverbefore, much of it owing to themodern camera’s light-weightbody and fast processing power aswell as the ubiquity of socialmedia. Sensory organs havebecome more acute, and thissensitivity prompts one to pressthe shutter even before the visualperception has had a chance toprocess the information. Thisexplains compositions that seeminstinctually snatched,provocative colors and a disregardfor narrative which mark thecharacteristics of young,contemporary artists. Thesephotographs are marked byextreme individuality andpersonality, but when they arebunched together, it is hard todeny the existence of a commontendency, a contemporariness, akind that resists individualization.
Eight of these young artists havebeen capturing objects, life andlandscapes that drew theirattention. Through similaritiesand differences, they trace thewhereabouts of photography inan era of social media.

시시관광 짤방
SISI TRAVEL MEMES

우물집(옥인동 64번지), 종로보건소 앞쉼터, 서촌 골목
Woomooljib, Sqaure of JongnoHealth Center, Seochon alleys

기획: 통의동 보안여관, 강민정, 신나라,오령산
참여 작가: 김윤, 배민경
전시디자인: 이용재아키텍츠
Curator: Artspace Boan1942,Kang Minjung, Shin Nara, OhLetha
Artist: Kim Yune, Bae Minkyung
Exhibition design: LeeyongjaeArchitects

서촌 지역의 소소한 길을 걸으며 각자의속도, 풍경과 시간을 찾아가는 투어형오픈 퍼레이드, ‘시시관광’과 연계한전시. 작가가 서촌 지역에서 새롭게주목한 장소에 대한 사진과 함께퍼레이드 중에 촬영한 사진을 짤방형식으로 엮어서 색다른 분위기로 보여준다.

Connected to Sisi Travel, thisopen parade tour is one whereeach saunters about the ordinarystreets of Seochon to discoverones own pace, landscape andtime. The artist weaves togetherphotos of new and noteworthysites and photos taken during theparade in memes.

PROGRAM

달과 사진의 밤
LUNAR PHOTO NIGHT

장소: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 마당
Venue: Square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Gyeongbokgung palace

일시: 9월 10일(토) 18:30 – 20:30
기획: 송수정, 이정민
영상감독: 이동규
음악감독: 정재호
뮤지션: 김목인
Date&time: Sep 10 (Sat) 18:30 – 20:30
Curator : Song Sujong, Lee Jungmin
Editor: Lee Justin
Composer: Jeong Jaeho
Musian: Kim Mokin

‘달과 사진의 밤’은 전시장 밖에서 좀 더 친근한 방식으로 사진을 만나기 위한 포토필름 상영회다. 포토필름은 사진을 동영상으로 제작한 슬라이드 프로젝션과 사진 이미지를 빠른 속도로 편집한 스톱모션 등을 총칭한다. ‘달과 사진의 밤’은 음악과 협업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사운드 디자이너 정재호가 각 작품에 맞춰 작곡했으며, 뮤지션이 라이브로 연주하기도 한다.

‘Lunar Photo Night’ is a night of screening photo-films, intended to present photography in a less formal manner outside the exhibition hall. Photo-film is a collective term referring to slideshows of photographs as well as stop motion works. Lunar Photo Night is also a program to collaborate with music. Sound designer Jeong Jaeho has joined to create a sound that is specific to each work and musician Kim Mok In will perform according to his inspiration by the photographs.

뮤지션 김목인

김목인은 노래로 음악가의 밭을 일구는 싱어송라이터이다. 또박또박 묘한설득력을 가진 그의 노래는 팬들 뿐만아니라 동료 음악가들에게 큰 지지를받고 있다. 캐비닛 싱얼롱즈라는 밴드를결성하여 활동하였고, 2011년 첫 솔로앨범을 발매하여 지속적으로 활동하고있다. 2014년 한국대중음악상 ‘팝 앨범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Kim Mokin is a singer-songwriter whose songs plow the field of a musician. His songs are clear and compelling, amassing support from fans and fellow musicians alike. He has been working with his band, Cabinet Singalongs, and with his first solo album in 2011, he continues to do music. Kim was nominated for ‘Best Pop Album’ at the 2014 Korea Music Awards.

참여작가 Artist

고천봉 Ko Cheonbong
나오미 해리스 Naomi Harris
다이애나 마타 Diana Matar
마야 다니엘즈 Maja Daniels
빌레케 더이제캄 Willeke Duijvekam
얀 밍가드 Yann Mingard
오형근 Oh Hein-kuhn
올리비에 컬만 Olivier Culmann
왕칭송 Wang Qingsong
요시노리 미즈타니 Yoshinori Mizutani
윌렘 포펠리에 Willem Popelier
육명심 Yook Myoung-Shim
케빈 오 무니 Kevin O Mooney
한스 아이켈붐 Hans Eijkelboom
히로시 오카모토 Hiroshi Okamoto

시시관광
Sisi Tour

9월 6일(화) 15:30 통인시장 뒷편 정자 출발
Sep 6(Tue) 15:30 Start from Tongin Market pavilion

기획 : 통의동 보안여관, 강민정, 신나라, 오령산
참여 작가: 배민경, 김윤
Curator: Artspace Boan1942, Kang Minjung, Shin Nara, Oh Letha
Artist: Kim Yune, Bae Minkyung

시시하고 시시時詩한 관광, 시시한 일상에 숨은 빛을 발견하는 관광. 시시관광은 서촌 지역의 소소한 길을 두고 참여 작가와 기획자, 참여자들이 함께 걸으며 각자의 속도, 풍경과 시간을 찾아가는 투어형 오픈 프레이드이다. 참여 작가 배민경(거북이의 노래)과 김윤은 여러 번의 리서치 투어를 통해 지도 ‘시시교차도’를 만들었고 초대받은 참가자는 자신의 속도, 시간을 대변하는 사물 혹은 표현 도구를 제작해 와서 함께 걸으며 이야기를 나눈다. 누군가에게 끌려가는 일방적인 걸음이 아니라 함께 각자의 시간을 걷고 공유하는 산책 같은 걸음이다. 길을 함께 걸으며 쉽사리 발견할 수 없는 서촌의 사적인 장소에서 관객 참가자와 함께 ‘기념 사진’을 찍는다. 기념 사진이 찍히는 통념적 장소에서 한 발자국 옆으로 비껴 나간 장소에서 찍힌 이들 사진은 누구나 쉽게 사진을 찍고 찍힐 수 있는 현대 사회의 무수한 ‘기념 사진’에 대해 한 발짝 비껴서 바라보고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tour is about rediscovering the light hidden in the quotidian. Taking the form of an open parade, the tour takes place along the trivial streets of Seocheon with participating artists, organizers and participants walking together to find their respective pace, landscape and time. Participating artists Bae Minkyung and Kim Yune have jointly created the ‘Sisi Map’ after sufficient research. Invited participants are to create objects or means of expression that would stand in for one’s pace and time. The stories are shared in the walk. Far from being a compulsory act, the tour is closer to a leisurely stroll where each person’s space and time are shared. When stumbling upon Seochon’s intimate places not readily found, ‘commemorative photographs’ are taken with the participating audience. To take pictures at a spot that exists slightly off the beaten sites opens the space to rethink the idea of a ‘commemorative photograph’ in an era where such proliferates.

루나포토마켓
Lunar Photo Market

2016 루나포토마켓 (통의동 보안여관 세모아 + 이구하나)
Lunar Photo Market- SEMOA+291

9월 11일(일) 15:00 – 21:00 고희
포토북, 앤티크 카메라, 즉석 사진 촬영 등
Sep 11(Sun) 15:00 –21:00 Goghi
Photo Books, Antique Cameras, Instant photos

2016 서울루나포토페스티벌 < 루나포토마켓 >이 열립니다. 매년 보안여관에서 진행하던 프리마켓 < 세.모.아.> 와 사진협동조합 공간291의 사진장터 <이구하나>가 함께 사진에 관한 모든것의 장터를 개최 합니다. 자신만의 사진으로 제작된 사진집, 다양한 하이아마츄어들의 사진작품들, 사진집, 사진에 관련된 책자, 사진관련 제품들(액자, 필름카메라 등등) 혹은 혹은 소장하고 있는 사진작품 등등 사진전문 마켓이 꾸려집니다.

참가신청 – https://goo.gl/forms/ydCV6EvNIWYpKNF62

참고 – 2015년 루나포토마켓 http://www.seoullunarphoto.com/2015/program/#fleamarket
참고 – 세모아 프리마켓 http://issuu.com/artspaceboan/docs/2013_04_cestmoi/11?e=0/15098269

작가와의 대화
ARTIST TALK

9월 7일(수) 18:00 – 사진위주 류가헌 – 성남훈, 이재갑, 케빈 오 무니
9월 8일(목) 18:00 – 더북소사이어티 – 히로시 오카모토
9월 9일(금) 19:00 – 길담서원 – 임채욱
9월 11일(일) 18:00 공간 291 – 권희진, 이수안, 이현주, 전성진, 최영, 하혜리, 함슬기, 황예지 + 김신식, 박지수
9월 12일(월) 17:00 – 통의동 보안여관 – 서평주, 이우성, 홍진훤

Sep 7(Wed) 18:00 – Mainly Photographs, Ryugaheon – Sung Namhun, Lee Jaegab, Kevin O Mooney
Sep 8(Thu) 18:00 – The Book Society – Hiroshi Okamoto
Sep 9(Fri) 19:00 – Gildam Seowon – Lim Chaewook
Sep 11(Sun) 18:00 Space291 – Kwon Heejin, Lee Suan, Lee Hyunju, Jeon Seongjin, Choe Young, Ha Hyeri, Hahm Seulki, Hwang Yezoi +Kim Shinsik, Park Ji Soo
Sep 12(Mon) 17:00 Artspace Boan1942 – Seo Pyeongjoo, Lee Woosung, Hong Jinghwon

LIBRARY

북소사+루나 책방
The Book Society+Lunar Photo Book Stand

참여 작가의 작품집 전시 및 판매
Book exhibition and selling of participating artists

CREDIT

Co-founders
Choi Sungwoo, Song Sujong

Planing Committee
Park Agnes, Park Mikyung, Lee Jaesung, Lee Yongjae, Lim Soosik

PR/Marketing
Yeom Claire Hyeji

Curators
Chang pa, Lee Jungmin, Cho Yaein

Assistant Curators
Kim Hyunkyung, Shin Nara

Film Director
Lee Justin

Composer
Jeong Jaeho

Design
Workroom

Copy Editor
Noh Kyongsu

Translator
Park Rebecca Yeonsoo

Narration
Mok Jungweon

Website
Hong Jinhwon

Staff
Jeon Jeonghoon, Kwon Hahyung, Lee Junghwan

Staff Photographer
Cho Jaemoo, Joo Yongsung

Video
Kim Yune, Lee Seunghoon

Host
Seoul Lunar Photo Fest 2016 Foundation
Artspace Boan1942

Partnership
Mainly Photograph’s Gallery, Ryugaheon, Leeyongjae Architects + SIDE, Gildam Seowon, The Book Society, Space291, Workroom, Electric Muse, Indie053, Goghi, Jin Media, Ice Creek

Sponsor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lmac Foundation

공동 대표
최성우 , 송수정

기획위원
아네스 박, 박미경, 이재성, 이용재, 임수식

홍보/마케팅
염혜지

큐레이터
창파, 이정민, 조예인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김현경, 신나라

영상감독
이동규

음악감독
정재호

디자인
워크룸

교정교열
노경수

번역
박연수

웹사이트
홍진훤

사진
조재무, 주용성

영상촬영
김윤, 이승훈

나래이션
목정원

스태프
전정훈, 권하형, 이정환

루나 서포터즈
강예진, 김유리, 문소영, 박민수, 박효선, 배서진, 서해나, 안희정, 엄성아, 오지선, 윤나현, 이다혜, 이서경, 이승원, 이예진, 이지원, 장자랑, 정경담, 최현주

주최
서울루나포토페스티벌 조직위원회

주관
통의동 보안여관

협력
사진위주류가헌, 이용재아키텍츠+사이드, 길담서원, 공간291, 더 북소사이어티, 워크룸, 일렉트릭 뮤즈, 인디053, 고희, 진미디어, 아이스크릭

후원
서울문화재단, 일맥문화재단